지난 20년간 사용했던 sbnet21.com 도메인을 더 이상 소유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 블로그는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기본 주소인 https://sbhan.tistory.com으로 계속 접속할 수 있다.

,

광복 이후 한국 전쟁 이전과 같은 이념의 시대가 아니고서야 요즘같이 신념의 양극화가 심했던 적이 있었을까 싶다. 나는 사람들의 생각이 이처럼 극단적으로 된 이유가 익명으로 활동하는 인터넷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할 때보다는 모르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을 더 강하게 주장하고 쉽게 싸우면서 자신의 의견을 더 강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준구 교수님이 최근 "무엇이 신념의 양극화(belief polarization)를 부추기고 있는가?"라는 글을 올리셨다. 교수님은 소셜 미디어가 한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동감한다. 댓글에서 누가 말했듯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사람의 글을 추천해주는 추천 시스템이 이러한 극단적인 신념의 양극화를 강화했다고 생각한다.

나는 되도록 양쪽의 입장을 다 들어 보려고 노력한다. 신문도 소위 좌파, 우파 신문을 모두 구독하고, 커뮤니티 사이트도 진영을 가리지 않고 방문해서 같은 사안을 얼마나 다르게 보는지 살펴본다. 사안에 따라 더 끌리는 쪽이 있게 마련이지만, 극단적으로 어느 쪽이 무조건 옳다고 보지 않으려고 한다.

국민들은 위정자들이 무엇은 잘하고 있고, 무엇은 잘못하고 있는지 올바르게 지적하고 비판해야 한다. 국민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한쪽에서는 잘하는 것만 칭찬하고, 다른 쪽에서는 못하는 것만 지적한다면, 잘못은 그대로인 채 칭찬하는 쪽만 끌어안고 나머지에는 등 돌리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올 수밖에 없다.

'[생각해 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블로 학력 논란 사건  (0) 2010.06.10
"야근 인정해달라"..한 IT 근로자의 절규  (6) 2010.03.05
,

나도 모르게 나도 맞춤법에 맞지 않는 어휘를 쓰고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맞춤법을 잘못 알고 계속해서 틀리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영어 스펠링 한 글자 틀리는 것은 창피하게 생각하면서, 우리말을 잘못 사용하는 것은 그다지 심각하지 않게 생각하는 것이 큰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가끔 예전에 내가 쓴 글을 보면 나는 2010년 정도까지 '오랜만에'를 끊임없이 '오랫만에'라고 잘못 써왔다. 반성한다. 아무도 안 알려줘서 몰랐다. '오랫동안'이 맞아서 '오랫만에'도 맞는 줄 알았나 보다. 다행히 2011년부터는 제대로 쓰고 있다.

사실 누가 지적해주지 않으면 본인이 맞춤법을 잘못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알기는 쉽지 않다. 다행히 여러 좋은 온라인 도구들이 무료로 제공되고 있으니 활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은행 업무를 보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컴퓨터로 인터넷 뱅킹 하는 것마저 구석기시대 사람이나 하는 것 같다고나 할까. 인터넷 시대라고는 하지만 미국에서 (다른 나라에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지만) 한국의 은행 사이트에 컴퓨터로 접속해서 은행 업무를 보려면 여러 쉽지 않은 일을 겪는다. 일단 너무 느리다. 로그인하기 전에 설치하는 프로그램도 많고, 그것을 다운로드하는 것도, 페이지 간 이동도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린다.

간단한 업무를 보려 해도 느려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데, 그 외에도 여러 가지 난감한 상황이 발생한다. 한국의 은행 업무를 몇 달에 한 번 보니 가끔 비밀번호가 헷갈릴 때도 있는데, 잘못해서 몇 차례 실수하면 계정이 막혀서 은행 지점을 방문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이 발생한다. OTP 기기가 배터리가 다 되어버릴 때는 정말 아무것도 할 수 없다. 몇 개의 OTP 기기가 있더라도 대체로 배터리 수명이 2~3년으로 비슷해서 돌려막기에도 한계가 있다.

몇 년 전에는 공인인증서 갱신 시간을 놓쳤다. 보통 인증서 등록을 다시 하면 되는데, 이 과정에 OTP가 필요하다. 그런데 하필 해당 은행에 등록한 OTP 배터리가 다 방전이 됐다. 다른 은행의 OTP는 배터리가 남아 있었지만, 그 OTP를 해당 은행에 등록하려면 그 해당 은행에 로그인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그러려면 그 은행에 등록된 유효한 OTP가 있어야 하는 상황.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데드락(deadlock) 상황이다. 해외에서 해결할 방법은 없었다. 직접 한국에 있는 은행에 방문하거나, 뉴욕에 있는 영사관에 가서 위임장을 공증받고 그것을 한국에 보내 가족이 대리인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최근에는 지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일부러 만료일보다 며칠 앞서서 공인인증서 갱신을 시도했다. 만료가 되지 않은 인증서는 갱신하기 전에 폐지하고 새로 등록하게 된다. 문제는 인증서를 새로 등록(혹은 갱신)하려면 OTP를 넣어야 하는데, OTP 값을 넣었더니 '보정 거래가 필요합니다'라는 오류 메시지를 보여준다. OTP 기기와 은행 시계의 오차로 인해 입력한 번호가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이다. 보정 거래를 바로잡으려면 로그인을 해야 한다. 이미 공인인증서가 폐지되어서 로그인할 수 없었다. ID/PW 로그인이라도 해야 하는데, 거의 사용한 적이 없으니 ID가 있는지, PW가 뭔지 기억나지 않아서, 그것들을 '찾기'하다가 ID 접근이 금지되기까지 했다. 난감하다.

이런저런 이중 삼중 안전장치가 사이트 사용을 너무 불편하게 만든다는 이야기다. 이와는 약간 다른 방향의 이야기지만, 한국 사이트는 휴대폰 번호가 없으면 가입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는 1년마다 휴대폰으로 성인 인증을 하라고 하는데 그것을 안 하면 영화 페이지에서 19세 이상 관람가 영화는 내용 설명을 아예 볼 수 없다. 그에 비해 그냥 메일 주소 하나로 모두 가입할 수 있는 미국 사이트는 참 편하다. 한국에는 뭐 그렇게도 내가 나라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가 싶다.

조금 극단적인 비유겠지만 한국에서는 1번의 불행을 막기 위해, 99번의 불편을 감수해야 하고, 미국에서는 99번의 편함을 위해 1번의 불행은 각오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일상의 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주소  (1) 2023.08.26
오랜만에... 맞춤법 이야기  (0) 2021.06.13
한국-펜실베니아 주 운전면허 상호인정  (2) 2017.04.17
주거 환경 개선 프로젝트  (8) 2017.03.20
,

미국 3대 햄버거는 서부의 인앤아웃(IN N OUT)과 동부의 쉑쉑(Shake Shack), 그리고 파이브 가이즈(Five Guys)이다. TV 프로그램이나 유튜브 영상에서 어느 햄버거가 가장 맛있느냐에 대한 논쟁이 흔히 벌어지곤 한다. 나는 파이브 가이즈의 감자 튀김(!!!, Five Guys' style fries)를 강력하게 추천한다. 따뜻할 때 먹는 파이브 가이즈 감자 튀김은 내가 먹어본 그 어떤 그것보다 맛있으며, 가히 미국 최고(?)의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햄버거 세트의 감자 튀김은 햄버거에 딸려오는 옵션 같은 존재이지만 파이브 가이즈의 감자 튀김은 다르다. 감자 튀김을 먹기 위해 파이브 가이즈로 발걸음을 옮기게 한다.

파이브 가이즈는 주문한 햄버거가 나오기 전에 먹으라고 땅콩을 무료로 제공한다. 감자를 땅콩 기름으로 튀긴다. 햄버거 사진은 안 찍었다.
감자는 저 멀리 아이다호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일상의 한마디] > [Living in Phill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라델피아  (1) 2018.08.01
,

필라델피아에서 생활하기 시작한 지 벌써 만 3년이 지났다. 틈틈이 이곳 생활을 글로 남겨 먼 훗날 다시 추억할 수 있게 해보자.


,

지난주 금요일 한국 운전면허증으로 펜실베니아 운전 면허증(Pennsylvania Driver's License)을 발급받았다. 현재 미국의 약 20여개 주에서는 '한미 운전면허 상호인정' 협정 때문에 필기와 실기 시험 없이 한국 면허증을 미국 면허증으로 교환해준다. 펜실베니아 주에서도 2016년 12월 중순부터 이 협정 덕분에 한인들이 비교적 쉽게 미국 면허증을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래와 같은 문서를 준비해서 PennDot(펜실베니아주 교통국)에 방문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뉴욕 영사관의 안내 글을 보면 된다. [링크]

  • 뉴욕 총영사관에서 인증된 한국운전면허증 번역문
  • 유효한 한국 운전면허증 원본
  • 유효한 국제 운전면허증 원본 (=>필요 없었음)
  • 펜실베니아주 거주 증명 서류
  • 합법적인 미국 체류 신분 증명 서류

한국운전면허증 번역문은 뉴욕에 있는 영사관에서 발급받아야 한다. 여권과 한국 면허증 사본 등이 필요하다. 가능하면 집에서 미리 복사해서 가야지, 안 그러면 돈을 내고 복사기를 사용해야 한다. (장당 10센트였던가? 기억이 잘 안 난다)

뉴욕 영사관뉴욕 영사관

사실 3월 초에도 면허증을 교환하러 갔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어서 PennDot을 재방문해야만 했다.

  • 뉴욕 영사관의 실수로 발급한 번역문에 대한 정보를 PennDot과 공유하는 시스템에 올리지 않아 영사관에 직접 전화해야 했다. 황당하게도 처음에는 내가 펜실베니아 주라고 이야기를 하지 않아서 그런 것이라는 주장을 영사관 측에서 했다. 참고로 당일 내 업무를 봐준 담당자는 내가 필라델피아에서 온 사실을 알고 그날 필라델피아에 순회 영사가 온다는 이야기까지 알려줬다. 뒤늦게 영사관 측이 자신들의 잘못임을 알고 충분히 사과해서 별 감정은 없지만 일단 고객(?)부터 의심한 점은 잘못이다. 설사 내가 얘기를 안 했더라도 그건 영사관 측이 먼저 물어봤어야 하는 일인데 말이다.
  • 예전에 갖고 있던 텍사스 면허가 만료되었음에도 다른 주에서 새로운 면허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포기(VOLUNTARY SURRENDER) 신청서인 DL-174 양식을 제출해야 했다. 이 요청이 처리되는데 약 3주 정도가 걸렸다. 사실 작년 초에도 텍사스 면허를 펜실베니아 면허로 교환하려고 PennDot에 갔다가 비슷한 이유로 거부됐었다. 펜실베니아 교통국에서는 텍사스 면허에 문제가 있다고 했고 그게 무슨 문제인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당시에 텍사스 교통국은 전화를 받지 않아서 더 이상의 진행을 포기했었다.
  • 내 비자가 J-2라서 그런지 교통국이 USCIS(미국 연방 이민국)에 내 신분을 조회해야 했다. 확인 결과가 담긴 우편물을 받는 데까지 약 2주가 걸렸다. 작년 초에 PennDot을 방문했을 때에 이미 신분 확인을 한 적이 있다고 이야기했지만, 이미 1년이 지나서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했다. 보통 3주, 빠르면 1주일 이내에 온다고 했지만 2주 정도 걸렸다.

PennDotPennDot

원래는 한국 면허증을 맡기고 펜실베니아 면허증을 받는 상호교환(exchange) 협정이지만 나의 경우는 한국 면허증은 확인 후 바로 돌려받았다. 그 자리에서 임시 면허증을 받았고 약 2주 후에 실제 면허증이 우편으로 배송된다고 한다.

,

신혼여행 당시에 캠코더로 찍은 동영상을 찾아보려고 했다. 하드 디스크를 30분 정도 뒤졌지만 찾을 수 없었다. 

그 동영상은 원래 외장 디스크에 있었다. 이 외장 디스크의 연결에 문제가 종종 있어 작년에 내장 하드 디스크로 백업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나 보다. 외장 디스크에 아직 데이터가 남아 있는지도 확신할 수 없었다. 백업했다고 생각하고 지워버렸을 수도 있었다.

문제는 이 외장 디스크에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외장 디스크의 전원을 껐다 켜보고 케이블을 요리조리 움직여보며 연결을 시도했다. 쭌이 캠으로 찍어준 결혼식 동영상을 비롯한 2008년에서 2010년까지의 수많은 데이터가 복구 불능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한 시간 동안 여러 생각이 오고 갔다.

전원 어댑터를 구매해야 하는지,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지, 어차피 찾아보지 않던 것이니 없던 것처럼 지내고 살아도 되는지?

그러나 그냥 한 번 뜯어보기로 했다. 요즘에 집에 뭐가 고장 나서 뜯어보면 100% 복구 불능 고장 확정이 된다. 그래서 '마이너스의 손'으로 불리고 있지만, 다른 도리가 없었다. 그런데 왠걸, 그냥 3.5인 하드 디스크가 들어 있는 것이 아닌가? 희망이 생겼다. 작년에 사둔 3.5인치 하드 외장 케이스에 넣었더니 잘 동작했고, 데이터는 그곳에 안전하게 있었다.

절망은 곧 안도로 변했다. 절망과 안도는 한 끗 차이였다.

'[순보의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4.07] 익숙함  (0) 2016.04.08
[2016.03.30] 시작이 반이다  (0) 2016.03.31
[2016.03.12] 알파고와 인공지능  (0) 2016.03.12
[2016.03.08] 온라인 강좌  (0) 2016.03.09
,

IKEA Lighting sectionIKEA Lighting section

주거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의자 두 개를 새로 장만하고, 집안 조명의 일부를 바꾸었다. 

미국에 다시 와서 구매한 의자는 예전에 오스틴에서 사용하던 것과 유사한 50불짜리 IKEA 제품이었다. 얼마 전 시내에 나갔다가 Staples에 전시된 의자에 앉아보고 마음에 무척 들어 인터넷으로 100불 초반대 가격의 제품을 주문했다. 물론 더 비싸고 좋은 의자도 많겠지만, 이 정도도 정말 엄청난 발전이다. 

메릴랜드 대학교의 방문 행사(Visit Day)에 갔다가 숙소에서 걸어서 30분 거리에 있는 IKEA에 가서 플로어 램프를 샀다. 함께 산 LED 전구가 너무 노래서 (색온도 2,700K) 집에 사둔 CFL 주광색(색온도 6,500K) 전구를 끼워서 사용하기로 했다. 미국 가정집은 원래 백열등 전구색의 은은한 조명을 사용한다. 하지만 우리 집은 3개의 주광색 플로어 등으로 인해 한국 집마냥 밝아졌다. 

소림이가 이게 좋다니까 이렇게 해놓고 살기로 했다.

,

리눅스를 개발한 리누스 토발스(Linus Torvalds)의 TED 강연을 보았다. 괴짜로도 유명한 그가 여러 차례 자신이 people person이 아니라고 이야기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그는 리눅스뿐만 아니라 분산 소스 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을 개발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git을 비롯해 그가 개발한 모든 프로젝트는 자신의 필요에 의한 것이라고 한다.

아래는 강연 막바지에 good taste를 가진 사람과 일을 하고 싶어 한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예로 든 단일 연결 리스트(Singly Linked List)의 특정 노드 삭제 코드이다. 물론 이것보다 훨씬 크고 복잡한 수준의 코드나 설계에 대한 good taste를 지녀야 한다고 한다.

// not very good taste approach
remove_list_entry(entry) {
    prev = NULL;
    walk = head;
    
    while (walk != entry) {
        prev = walk;
        wal = walk->next;
    }

    if (!prev)
        head = entry->next;
    else
        prev->next = entry->next;
}
// better taste
remove_list_entry(entry) {
    indirect = &head;
    
    while((*indirect) != entry)
        indirect = &(*indirect)->next;
        
    *indirect = entry->next;
}

 

'[아는게 힘이다] > [강의/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와 네트워킹  (1) 2016.02.24
,